맨위로가기

기노 쓰라유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노 쓰라유키는 866년 또는 872년에 태어난 일본의 시인으로, 905년 다이고 천황의 명으로 편찬된 최초의 칙찬 와카집인 《고킨와카슈》의 편집자 중 한 명이다. 그는 《고킨와카슈》의 가나 서문을 작성하여 와카에 대한 최초의 비평을 남겼으며, 36가선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교토에서 관직을 역임하고 도사 국의 지사를 지냈으며, 《도사 일기》를 저술했다. 그의 작품은 《겐지 이야기》에서도 언급되었고, 묘지는 시가현 오쓰시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씨 (황별) - 히로하시 주시
    히로하시 주시는 일본 남북조 시대 고코곤 천황의 텐지로서, 고엔유 천황을 비롯한 여러 왕자를 낳고 왕실 내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스겐몬인이라는 원호를 받은 인물이다.
  • 기씨 (황별) - 기노 도모노리
    기노 도모노리는 헤이안 시대의 시인이자 관리로, 『고킨와카슈』 편찬에 참여했으며 그의 작품은 칙찬와카슈에 다수 수록되어 있고 대표작은 한국 교과서에도 소개되었다.
  • 945년 사망 - 혜종 (고려)
    혜종은 고려 태조 왕건의 장남이자 제2대 왕으로, 왕위 계승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으나 박술희의 지지를 받아 즉위했으나, 측근 세력과 이복동생들의 왕위 위협 속에서 재위 2년 만에 사망했다.
  • 945년 사망 - 이고리 1세
    10세기 전반 키예프 루스의 대공 이고리 1세는 류리크의 아들로 즉위 후 주변 부족 평정, 공납 부과, 페체네그족과의 충돌, 비잔티움 제국 원정을 수행했으나 드레블랴네족에게 살해당했다.
  • 고치현의 역사 - 도사번
    도사 번은 야마우치 가즈토요가 1600년에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20만 2,600석을 하사받아 설립되었으며, 에도 시대 동안 야마우치 가문이 다스리면서 여러 어려움과 개혁, 그리고 메이지 유신에 기여한 인물들을 배출하며 삿초도히의 일원으로 시대 전환에 기여했고, 1871년 폐번치현으로 고치현이 되었다.
  • 고치현의 역사 - 이타가키 다이스케
    이타가키 다이스케는 메이지 시대 일본의 정치가이자 자유민권 운동가로, 자유당을 창당하여 일본 입헌정치 발전에 기여했으며, 자유민권운동을 주도하고 민주주의를 향한 열정을 보였으나 제국주의적 팽창과의 연관성 등 비판도 있다.
기노 쓰라유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기노 쓰라유키
기노 쓰라유키 (기쿠치 요사이 그림, 《전현고실》)
이름기노 쓰라유키 (紀 貫之)
로마자 표기Gi no Tsurayugi
출생872년 (혹은 866년)
사망945년 6월 30일
묘소시가현오쓰시히에이산 중턱의 모다테산
별칭아고쿠소 (유년 시절 이름) → 쓰라유키
관직 정보
관위종5위상・목공권두 증 증종2위
주군다이고 천황 → 스자쿠 천황
가문
씨족기 씨
아버지기노 모치유키
자녀도키부미
기노 나이시
딸 1명
경력
도사 국 장관930년 ~ 935년
가가 국 부지사917년 ~ 923년
미노 국 부지사918년 ~ 923년

2. 생애 및 관력

기노 모치유키의 아들로 태어났다. 905년 다이고 천황의 명으로 기노 도모노리, 오시코치노 미쓰네, 미부노 다다미네와 함께 ≪고금와카집≫을 편찬했다. 교토에서 여러 관직을 거친 후, 930년부터 935년까지 도사국의 지방관을 역임했다. 이후 스오국(周防國) 장관으로 재임한 적도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기노 쓰라유키의 공식 연대기는 36가선의 삶을 기록한 ''36인가선전''(三十六人歌仙伝)에 기록되어 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도사건
866년 또는 872년출생
945년 5월 18일?사망



후지와라노 긴토에 의해 36가선으로 선정되었으며, ≪고금와카집≫의 편찬자이자, 와카에 대한 최초의 비평으로 평가받는 <가나 서문>을 쓴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와카를 분류하고 주요 시인들을 언급했으며, 아리와라노 나리히라와 같은 선배들에게는 비판적인 평가를 하기도 했다. 36가선 중 한 명으로, 묘지는 시가현 오쓰시 히에이 산에 있다.

쓰라유키는 생애 동안 500편이 넘는 시를 지었으며, 그의 와카 중 하나는 후지와라노 테이카가 편찬한 ''백인일수''에 수록되었다. 그의 죽음에 대해서는 ''삼십육인가선전''에 945년 5월 18일로 기록되어 있지만, 6월 30일이라는 설도 있다.

일본 문학사에서 가인으로서 최고의 존경을 받아온 인물 중 한 명이다. 칙찬 가인으로서 『고금와카집』(101수)를 비롯한 칙찬 와카집에 435수의 와카 작품이 수록[2]된 것은 가인 중에서 가장 많은 수이며, 3대집 시대의 절대적인 권위자였다고 할 수 있다.

산문 작품으로는 『토사 일기』가 있다. 이는 일본 일기 문학에서 완본으로 전해지는 가장 오래된 것이며, 이후 가나 일기 문학이나 수필, 여류 문학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쓰라유키의 저택은 헤이안쿄 좌경 1조 4방 12정에 해당하며, 앞뜰에는 많은 벚나무가 심어져 있어 "사쿠라마치(桜町)"라고 불렸다고 한다. 그 유지는 현재의 교토 고쇼 토미노코지 광장에 해당한다.

2. 1. 출생과 초기 활동

기노 모치유키의 아들로, 890년대부터 문인으로 활동했다. 어릴 적 이름은 아코쿠소(阿古久曽)였다. 아라마타 히로시는, 쿠소는 부정한 것이며, 악귀조차 이를 싫어하기 때문에, 귀신의 해를 피하는 방법으로 유아에게 "마루"(부정을 넣는 용기)나 "쿠소"(부정 그 자체)라는 이름을 붙이는 부모가 나타났다고 설명한다.[1] 쓰라유키의 어머니가 내교방 출신 여자였기 때문에, 쓰라유키도 이와 같이 불렸을 것으로 여겨진다.

890년대에 그는 일본어로 된 단시인 와카의 시인이 되었다. 900년경부터 조정에 출사해 각종 시집을 편찬하는 일에 참가하고 6가선(六歌仙)을 선정하였다. 905년 다이고 천황의 명에 따라 기노 도모노리, 오시코치노 미쓰네, 미부노 다다미네와 함께 ≪고금와카집≫을 편찬했다.

2. 2. 관직 생활

900년경부터 조정에 출사해 여러 시집을 편찬하는 일에 참가하고 6가선(六歌仙)을 선정하였다. 905년 다이고 천황의 명으로 기노 도모노리, 오시코치노 미쓰네, 미부노 다다미네와 함께 ≪고금와카집≫을 편찬했다. 교토에서 몇몇 직위를 거친 후, 도사국의 지방관으로 임명되어 930년부터 935년까지 재직했다. 스오국(周防國)의 자택에서 연회를 열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후 스오 지방 장관으로 재임한 적도 있는 듯하다.

기노 쓰라유키의 공식 연대기는 36가선의 삶을 기록한 ''36인가선전''(三十六人歌仙伝)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연도사건
905년 4월 18일고금와카집 저술
906년 2월에치젠국 주임(少掾, 쇼조) 겸 궁정 도서관 관리자(御書所預, 고쇼도코로아즈카리) 임명
907년 2월 27일내선사(内膳司, 나이젠시) 장 임명
907년 9월우다 천황 오이강 행차 동행, 와카 지음
910년 2월중무성 소내기(少内記, 쇼나이키) 임명
913년 3월 13일우다 천황 주최 테이지인 우타아와세 참여
913년 4월중무성 대내기(大内記, 다이나이키) 임명
917년 1월 7일종5위하(従五位下, 주고이노게) 위계 받음
917년 1월가고 국 부지사(加賀介, 카가노스케) 임명
918년 2월미노 국 부지사(美濃介, 미노노스케) 동시 임명
923년 6월중무성 대감물(大監物, 다이켄모츠) 장 임명
929년 9월우쿄(右京亮, 우쿄노스케) 부지사 임명
930년 1월도사 국 지사(土佐守, 토사노카미) 임명, 다이고 천황 명으로 신선와카(新撰和歌) 편찬
935년 2월도사 국 지사 임기 만료, 교토 귀환, 도사 일기 저술
940년 3월현번두(玄蕃頭, 겐바노카미) 임명
943년 1월 7일종5위상(従五位上, 주고이노조) 위계 받음
945년 3월 28일목공권두(木工権頭, 모쿠노곤노카미) 임명
1904년 3월 18일사후 종2위(従二位, 주니이) 위계 받음

[1]

3. 주요 작품 및 문학적 업적

기노 쓰라유키는 와카의 대가이자 36가선 중 한 명으로, 후지와라노 긴토에 의해 선정되었다. 묘지는 시가현 오쓰시 히에이 산에 있다.[1]

일본 문학사에서 가인으로서 최고의 존경을 받아온 인물 중 하나이다. 칙찬 가인으로서 『고킨와카슈』(101수)를 비롯한 칙찬 와카집에 435수의 와카 작품이 수록[2]된 것은 가인 중에서 최고 수이며, 3대집 시대의 절대적인 권위자였다고 할 수 있다.

그의 주요 작품 및 문학적 업적은 다음과 같다.


  • '''고킨와카슈(《고킨슈》):''' 905년 다이고 천황의 명으로 기노 도모노리, 미부노 타다미네, 오시코치노 미츠네와 함께 편찬한 최초의 칙찬 와카집이다. 쓰라유키는 주 편집자였으며, 가나로 된 서문인 가나 서문을 집필했다.
  • '''도사 일기(土佐日記):''' 쓰라유키가 도사 지방관 임무를 마치고 교토로 돌아오는 길에 쓴 기행문으로, 가공의 여성 화자를 내세워 뱃길의 여정과 배 안에서의 풍경을 묘사했다.
  • '''신찬와카:''' 쓰라유키가 단독으로 편찬한 사선집이다.
  • '''쓰라유키집:''' 쓰라유키의 개인 시집이다.


이 외에도 『오구라 백인일수』에도 와카가 수록되어 있으며, 이지적이고 분석적인 가풍을 특징으로 한다.

3. 1. 《고킨와카슈》(古今和歌集)

905년, 다이고 천황의 명에 따라, 기노 쓰라유키는 최초의 칙찬 와카집인 고킨와카슈(《고킨슈》)를 편찬하기 위해 선정된 네 명의 시인 중 한 명이었다. 쓰라유키는 고킨와카슈의 주 편집자였으며, 일본어 서문(가나 서문)의 저자였다.[2] 기노 도모노리, 미부노 타다미네, 오시코치노 미츠네와 함께 편찬했다. 가나로 된 서문인 가나 서문을 집필했는데(진명 서문은 기노 시키모치가 집필), "야마토 우타는 사람의 마음을 씨앗으로 삼아, 온갖 말의 잎이 되었도다"로 시작하는 이 가나 서문은 후대의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고킨와카슈》는 천황이 당대에 전해지던 와카를 모아 편찬할 것을 명하여 만들어진 노래책인데, 쓰라유키는 편찬자로서 책을 만드는 데 참여해 가나 서문을 썼다. 가나 서문은 일종의 평론으로, 와카에 대한 최초의 시론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의 시론에서 영향을 받았으나, 그의 견해를 덧붙여 일본 와카의 기원과 역사, 유명했던 시인들의 작품을 평하고 있다. 한자로 쓰인, 또 다른 서문인 마나 서문과 내용은 비슷하나 보다 심오한 이해를 보여 준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다. 한자로 쓰인 작품보다 가나로 쓰인 작품이 더 훌륭하니, 문학 언어로서 가나의 위상을 한층 높였다 할 수 있다.

3. 2. 《도사일기》(土佐日記)

《도사일기》(土佐日記)는 기노 쓰라유키가 도사 지방관 임무를 마치고 교토로 돌아오는 길에 쓴 기행문이다. 허구적인 장치를 사용하여 높은 문학성을 보여주고 있다. 작가의 경험과 느낌을 사실적으로 기술하는 보통의 기행문과는 달리, 가공의 여성 화자를 내세워 뱃길의 여정과 배 안에서의 풍경을 전하고 있다. 그로 인해 쓰라유키 자신을 제삼자의 시선으로 관찰해서 묘사하는 등, 다양한 문학적 효과를 거두고 있다. 이러한 작품들은 여성들의 언어였던 가나를 문학 언어의 지위로 올려놓았고, 일본의 독자적인 문학이 발전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934년, 쓰라유키는 도사 국사 임기를 마치고 수도(현재의 교토)로 돌아오는 55일간의 여정을 여성 화자의 관점에서 기록했다. 남성이 썼음에도 불구하고 여성 화자를 사용한 점은 당시 언어학 분야에서 성별과 사회적 지위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도사일기》에는 쓰라유키의 삶에서 일어난 사건, 특히 딸의 죽음에 대한 언급과 쓰라유키가 쓴 것으로 추정되는 많은 와카가 포함되어 있다.

《도사일기》는 일본 일기 문학에서 완본으로 전해지는 가장 오래된 작품이며, 이후 가나 일기 문학, 수필, 여류 문학 발달에 큰 영향을 미쳤다.[2]

3. 3. 기타 작품


  • 고금와카집: 기노 도모노리, 미부노 타다미네, 오시코치노 미쓰네와 공동 편찬한 칙찬 와카집이다.
  • 고금 가나 서
  • 신찬와카: 쓰라유키가 단독으로 편찬한 사선집이다.
  • 신찬와카 서: 진명 서.
  • 오이가와 미유키 와카 서: 『고금저문집』 권 제14 유람 22에 수록.
  • 쓰라유키집
  • 토사 일기

4. 와카

고금와카집은 천황이 당대에 전해지던 와카를 모아 편찬할 것을 명하여 만들어진 노래책인데, 쓰라유키는 편찬자로서 책을 만드는 데 참여해 가나 서문을 썼다. 가나 서문은 일종의 평론으로, 와카에 대한 최초의 시론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의 시론에서 영향을 받았으나, 그의 견해를 덧붙여 일본 와카의 기원과 역사, 유명했던 시인들의 작품을 평하고 있다. 한자로 쓰인, 또 다른 서문인 마나 서문과 내용은 비슷하나 보다 심오한 이해를 보여 준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다. 한자로 쓰인 작품보다 가나로 쓰인 작품이 더 훌륭하니, 문학 언어로서 가나의 위상을 한층 높였다 할 수 있다.[1]

사람의 마음은 알 수 없어도 고향 꽃은 옛날 그대로의 향기가 나네.
人はいさ 心も知らず ふるさとは 花ぞ昔の 香に匂ひける일본어[1]

겐지 이야기에서, 기노 쓰라유키는 와카의 대가로 언급되며, 우다 천황이 그와 여러 여성 시인들에게 궁궐 장식으로 쓸 패널에 와카를 쓰도록 명령했다고 기록되어 있다.[1]


  • 소매를 적셔 맺은 물이 얼어붙은 것을 봄이 시작된 오늘 바람이 녹이려나 (고금 2)[1]
  • 안개가 피어오르고 이 눈에도 봄의 눈이 내리니 꽃 없는 마을에도 꽃이 흩날리네 (고금 9)[1]
  • 벚꽃 흩날리는 바람의 흔적에 물 없는 하늘에 파도가 일어나는구나 (고금 89)[1]
  • 사람은 어떠할지 마음도 알 수 없지만, 고향은 꽃이 옛 향기에 흩날리네 (백인일수 35)[1]
  • 요시노 강, 바위 틈으로 높이 흐르는 물살처럼 빠르게 당신을 생각하기 시작했네 (고금 471)[1]

5. 평가 및 영향

기노 쓰라유키는 후지와라노 긴토에 의해 36가선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으며, 고금와카집(고킨와카슈)의 편찬자로 잘 알려져 있다.[2] ≪고금와카집≫의 두 가지 서문 중 하나인 가나 서문을 썼는데, 이는 와카에 대한 최초의 비평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서문에서 와카의 신화적 기원부터 동시대 와카까지 서술했으며, 이를 분류하고 주요 시인들을 언급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아리와라노 나리히라와 같은 선배들에게 가혹한 비판을 가하기도 했다.

쓰라유키는 ≪고금와카집≫ 편찬에 참여했을 뿐만 아니라, 가나 서문을 집필하여 후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야마토 우타는 사람의 마음을 씨앗으로 삼아, 온갖 말의 잎이 되었도다"라는 문장으로 시작하는 가나 서문은 일본 와카의 기원과 역사, 유명 시인들의 작품을 평가하며, 한자로 쓰인 마나 서문보다 심오한 이해를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를 통해 문학 언어로서 가나의 위상을 높였다.

도사 일기는 쓰라유키가 도사국 지방관 임무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쓴 기행문으로, 허구적인 장치를 사용하여 높은 문학성을 보여준다. 가공의 여성 화자를 내세워 뱃길의 여정과 배 안에서의 풍경을 전하며, 쓰라유키 자신을 제삼자의 시선으로 관찰하여 묘사하는 등 다양한 문학적 효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작품들은 여성들의 언어였던 가나를 문학 언어의 지위로 올려놓았고, 일본의 독자적인 문학이 발전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쓰라유키는 와카 등의 대가였으며, 칙찬 가인으로서 ≪고금와카집≫(101수)을 비롯한 칙찬 와카집에 435수의 와카 작품을 수록하여 가인 중에서 가장 많은 작품을 남겼다.[2] 이는 3대집 시대의 절대적인 권위자였음을 보여준다. 그의 와카 중 하나는 후지와라노 테이카가 편찬한 백인일수에 수록되기도 했다.

오오카가미에 따르면 그의 와카 실력은 매우 존경받았으며, 덴교 6년(943년) 정월에 대납언 후지와라노 모로스케가 태정대신 후지와라노 타다히라에게 와카 대작을 의뢰하기 위해 쓰라유키의 집을 방문했다고 한다. 또한 소우시(袋草紙) 등에서는 쓰라유키가 읊은 노래의 힘으로 행운이 찾아왔다는 "가덕설화(歌徳説話)"도 많이 전해지고 있다.

6. 유적

모타테야마의 기노 쓰라유키의 묘


시가현 오쓰시 히에이산 중턱의 모타테야마에 묘가 있다. 히에이잔 철도 사카모토 케이블카 모타테야마역에서 도보로 10분 거리에 있으며, 이정표도 완비되어 있다.

미에현 쓰시 하쿠산초 사타에도 쓰라유키의 묘로 전해지는 묘비가 있다.

기노 쓰라유키를 주 제신으로 모시는 신사는 각지에 다음과 같이 존재한다.

참조

[1] 서적 荒俣 1994
[2] 서적 勅撰作者部類
[3] 간행물 官報第6237号「叙任及辞令」 1904-04-19
[4] 웹사이트 福王子神社 - 滋賀県神社庁 http://www.shiga-jin[...] 2018-10-14
[5] 웹사이트 紀貫之社 - 愛媛県神社庁 http://ehime-jinjach[...] 2018-10-14
[6] 기타 866년 설도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